2018.4.7
중국의 제조업 PMI 지수 급반등의 의미와 미국의 환매조건부 채권 매각이 주는 변동 쥬라기
투자전략
2018. 4. 7. 20:36
|
중국의 제조업 PMI 지수 급반등의 의미와 미국의 환매조건부 채권 매각이 주는 변동
2월
급격한 감소로 나타났던 중국의 국가통계국 제조업 PMI 지수는
3월 급 반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52.4를 정점으로 50.3으로 하락했던
중국 제조업 PMI 지수는 3월 541.5를 회복하였다.
특히 생산지수, 신규주문, 납기 지수가 급 반등이 나타나 9월 이후 위축되었던 중국의 제조업이 회복 기조로 돌아서고 있는 듯 하다.
제조업에서는
세계 1위를 차지하는 중국의 제조업 경기에 따라 원자재 가격은 물론,
원자재를 채굴, 운반, 제련, 가공, 조립, 시공하는
경기 민감주가 밀접하게 연관된다. 과거 2015년 6월 이후 중국의 제조업 둔화가 2016년 1월까지 이어지며 이 시기 경기주 하락이 매우 가파르게 나타났으나,
2월 중국의 제조업이 회복되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은 물론 경기 민감주 주가가 급등하였다.
아래 자료는 중국의
제조업 PMI 지수와 세계 기초재료(경기민감주) 펀드의 움직임을 비교한 자료이다.
2015년 7월
이후 중국의 제조업이 위축되기 시작하면서 경기주 하락이 시작되어 2016년 2월까지 제조업이 급격히 위축되자 1월말까지 세계 경기 민감주는
급락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3월 중국의 제조업 지표의 회복과 함께 경기주는 상승을 시작하여 이후 장기
상승 추세가 이어졌다.
2017년 이후 중국의 제조업이 둔화되었으나, 2015년과 달리
미국과 유럽 등 여타 국가의 제조업 활황이 이어지면서 세계 기초재료 펀드는 1월까지 상승이 이어졌으나
국가별로는 중국의 제조업 PMI를 따라 상승이 제한된 모습이 나타났다.
이후 2월까지 중국의 제조업 지표가 급격히 위축됨에 따라
2월 이후 조정을 거쳤던 경기주는 3월 하락이 이어졌다.
아마도 중국의 제조업 하락 때문인 듯 하다.
4월 3일 발표된 중국 제조업 PMI 지수는 급 반등하며 하락을 회복하여 2016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원자재 가격 상승을 동반하는 경기주 상승이 준비되어 있는 듯 하다.
4월 3일 발표된 중국 제조업 PMI 지수는 급 반등하며 하락을 회복하여 2016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원자재 가격 상승을 동반하는 경기주 상승이 준비되어 있는 듯 하다.
2018년은
2월에 춘절 연휴가 있어 상대적으로 근무일수가 작았고, 한편으로 예년보다 혹한이
지속되면서 북반구 건설 비수기가 연장된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과도하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던
중국의 제조업이 봄이 되면서 회복기조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한편, 트럼프의 감세정책과 재정지출 확대로 재정적자가 확대되고 있는 미국 연방수지 재정은 12개월 이동합계 규모가 7,000억 달러로 확대된 가운데 적자가
확대되고 있지만 올 들어 채권 가격 하락으로 미국 재무부는 국채 발행이 원활하지 않다.
美 국채
입찰에서 발 빼는 외국인…"핵심 보루의 퇴장"연합인포맥스
2018.02.21.
미국 국채 입찰 '찬바람' 금리 더 뜬다뉴스핌 2018.03.13
美 연방정부 자금 조달에서 외국인 역할 갈수록 증가 파이낸셜뉴스 5일 전
이 때문에 FRB는 환매조건부로 국채를 해외에 단기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듯 하다. 해외 계정에 대한 환매조건부 채권은 2,200억 달러 수준에서
최근 2,600억 달러 수준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환매조건부
채권을 발행하여 미국이 해외 달러를 흡수하면 달러의 하락을 방어하고 있다.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과
유로화 상승 및 달러 하락의 변곡점에서, FRB는 환매조건부 채권을 발행하여 원자재 상승과 달러의
하락을 방어하는 모습이 보인다. 변곡점에 다가선 달러가 반등하는 이유이다.
한편, FRB의 환매조건부 채권 해외 매각에 따른 해외 달러 흡수는 한편으로는 금융시장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여
조정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금융시장의
조정 변동은 FRB의 해외 달러 흡수와 관련된 측면이 있다.
과거 주가 조정이 크게 나타났던 시기에는 FRB 가 환매조건부 채권을 매각하여 해외
달러를 흡수한 시기와 겹친다. 최근의 주가 조정도 환매조건부 채권의 매각에 따른 해외 달러 흡수와
타이밍이 동조되어 있다.
최근 미국과 중국간
관세를 통한 무역전쟁이 주가를 등락시키는 것처럼 보도되지만, 실제 조정을 이끌어 온 것은 FRB의 환매조건부채권 매각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의 결과이다.
따라서 현재 금융시장은
재정적자를 메우는데 필요한 국채 발행을 위해, 미국 FRB
주도의 환매조건부 채권 해외 매각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과, 중국의 제조업 경기
회복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 제조업 경기 둔화를 따라 조정을 거친 경기 민감주의 상승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국채 발행을 위해
달러를 방어하려는 미국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억제하려는 힘을 작용하고, 중국의 주택 경기 호전에 따른
제조업 경기 활황은 원자재 가격을 올려 미국의 달러를 하락시키는 힘을 작용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관세가 아닌 달러 가치를 두고 그들 자신도 모른 채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장기간 주택가격 억제를 위한 긴축 정책으로 주택재고가 과도하게 감소한 중국은 부동산과 건설이 점차 활황으로
가는 것은 막을 수 없는 일이며, 미국 또한 유럽과 함께 이점에 있어서 같은 여건이다. 이 때문에 미국이 일시적으로 달러를 방어한다고 해도, 회복되는
세계 부동산 경기는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달러가 하락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미국과 유럽의 제조업이
강한 회복을 보이는 가운데 둔화되던 중국의 제조업이 회복된다는 것은 향후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원자재를 채굴,
운반, 제련, 가공, 조립, 시공하는 모든 분야에서 업황이 회복된다는 말과
같다. 단기적으로 미국의 환매채매각 전략으로 불안요인이 있으나 이에 의한 영향은 미래가치를 이유로
과도하게 오른 기업들이 더 영향을 받을 듯 하다.
중국의 제조업의 침체와
회복이 원자재 가격과 경기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충분히 연구해 보고 연봉 시가3선에 따른 안정적인
전략을 가져갈 때이다.
석유기업
기술주 하드웨어
댓글 없음:
댓글 쓰기